편도결석 빼는법, 편도결석 흡입기


평소에 양치도 자주하고 깨끗하게 위생관리를 함에도 불구하고 입냄새가 심하거나 그 증세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

 편도결석은 쌀만한 알갱이로 가끔 기침하다가 튀어나오기도 해서 보신분 들도 있을 것 입니다. 저도 몇번 기침으로 인해 튀어나온 편도결석을 뭔지도 모르고 냄새를 맞았다가 그 냄새에 매우 짜증낫던 기억이 나네요. 악취가 매우 심합니다.



 오늘은 우리의 구취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인 편도결석 빼는법 그리고 흡입기로 빨아낸 듯이 깔끔하게 제거하기 등에 대하여 알려드릴까 합니다. 이 방법들만 잘 배워서 실천하시면 입냄새의 악몽에서 탈출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편도결석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 드리자면, 음식물 찌꺼기들이 입안에 남아있다가 편도부분의 작은 구멍들에 들어가게 되고 이 음식물들로 읺여 세균이 번식하여 생기는 알갱이 입니다. 편도염이 생기는 경우에 많이 생기지만 일반적인 상태에서도 물론 생길 수 있습니다.

 대표증상을 간략히 말씀 드리면, 
양치를 해도 입냄새가 잘 없어지지 않고 기침이나 구역질을 하게되면 정체불명의 악취를 풍기는 알갱이가 튀어 나오거나 침삼킬때 이물감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불편함과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하는 편도결석 빼는법은 어떻게 될까요? 흡입기만 사용하면 쉽게 제거 될까요?


 우선 흡입기를 제외하고 가장 손쉬운 방법은 구하기 쉬운 면봉이나 꼬지같은 조그만한 막대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 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쉽게 밖에서 보이는 결석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 이지만 잘못하게 되면 편도나 입 안쪽에 상처를 낼 수도 있습니다.


 두번째로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물을 편도결석 쪽에 분사하여 편도결석을 빼는법 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적절하게 조준을 하여 분사하면 결석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편도나 입 내부에 상처도 나지 않아 좋은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빼는법 세번째는 가글 입니다. 구취제거제나 물을 이용하여 양치후에 수시로 가글을 해주시는 습관을 가지시면 편도결석을 주기적으로 제거해 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고 주기적인 관리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편도결석 흡입기를 이용하여 뺀듯이 깔끔하게 빼는법에 대하여 알아 보았는데요. 평소에 위의 방법들로 편도결석을 수시로 제거해 주지 않으시면 편도결석이 심해져 수술을 받을 위험성도 있다고 하니 주의하시고 관리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