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브이룩업 vlookup 사용법 사실 간단해요!


엑셀을 가지고 작업을 하다보면 데이터 가공하는데 있어 정말 유용한 기능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으실 꺼에요. 브이룩업 같은 파워풀한 함수 사용법을 배워두면 업무시간을 줄여주는데 큰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오늘은 엑셀 브이룩업(vlookup) 사용법에 대하여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엑셀의 브이룩업을 말그대로 풀어보면 Vertical Look Up 으로 수직 방향으로 찾아본다는 영어 단어를 단축해서 써 놓은 것 입니다. 말그대로 vlookup(브이룩업) 함수는 수직방향의 데이터를 찾아서 매칭해주는 기능을 가진 함수 입니다.

브이룩업 함수는 방대한 엑셀 테이블 값의 특정값 그리고 그 값에 연관된 데이터를 매칭하여 불러오는 함수로 아래에서 vlookup 사용법을 간단한 예시를 통해 보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테이블은 학과 학생들의 학점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좌측은 원래의 엑셀의 표, 우측은 원하는 학생들만 vlookup(브이룩업) 으로 뽑아 새롭게 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연습차원으로 해보세요. 연습하셔야 나중에 몇백줄 짜리 표도 브이룩업을 사용하여 손쉽게 값을 찾아서 매칭할 수 있습니다.

우선 브이룩업 함수의 구조를 간단하게 말씀을 드리면
=vlookup(찾을 값, 찾을 데이터 범위, 매칭열, 정확성)

다음과 같습니다.


브이룩업 예시를 보며 사용법을 설명 드릴게요. 우선적으로 저는 vlookup으로 거주지역 칸을 채우도록 하겠습니다. 셀에 =vlookup을 입력하고 ( 를 입력하여 괄호를 엽니다.


브이룩업을 통해 찾을 값인 김철수 셀을 클릭하여 선택한 후 쉼표를 입력합니다.



다음은 브이룩업으로 검색을 할 원본 데이터 전부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을 전체를 선택하신 후, F4 키를 입력하여 vlookup을 통해 찾을 원본 데이터를 절대참조로 고정시켜 줍니다. ($표시가 생기면, 절대참조가 되었음을 의미) 그 후 쉼표를 찍어 줍니다. 



다음은 브이룩업으로 읽어올 열을 숫자로 입력해 줍니다. 거주지역을 매칭해서 가져와야 하므로 원본 데이터에서 거주지역이 표기된 3번째 열을 입력합니다. 브이룩업 함수에서 간단하게 3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쉼표를 찍어 줍니다.



마지막으로 브이룩업에서 값을 정확하게 읽어올지 유사값을 읽어올지를 선택하게 되는데 특별한 일이 있지 않고서는 vlookup(브이룩업)을 통해 정확한 값을 읽어와야 하므로 정확한 값만 읽어 오겠다는 FALSE를 입력해 줍니다. 그 후 ) 로 함수를 닫은 후 엔터를 치면 함수가 완성 됩니다.



vlookup(브이룩업) 함수가 정확하게 철수가 살고 있는 광주를 매칭해 주었습니다. 셀을 드레그 해서 내려주면 나머지 친구들의 거주지역도 브이룩업 함수가 매칭을 해 줍니다. 같은 방법으로 학점칸도 쉽게 채울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엑셀의 함수중 하나인 vlookup(브이룩업) 사용법에 대하여 배워 보았습니다. 최대한 쉬운 예제로 함수 사용법을 알아 보았는데요. 제 글이 브이룩업 사용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