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핵심 용어 | PER PBR 개념정리

주식의 기초 중의 기초 재무 용어 PER, PBR 설명해 드리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주식을 하는데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투자지표 중 하나로 꼽힙니다. PER 그리고 PBR 을 모르는 사람은 주식을 하지 말라는 소문이 퍼질 정도로 자세히 다루어지는 숫자입니다.


■ 주식 핵심용어 PER

PER 의 의미는 한글로 주가수익비율 : Price Earning Ratio 로 불리며 선택된 종목의 회사가 시장 기준, 업종기준으로 고평가되었는지 아직 저평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특정한 회사의 주식가격을 재무제표상 순이익을 주당 가격으로 쪼갰을 때의 가격인 주당순이익으로 나누면 구할 수 있습니다.

PER = 주가 / 주당 순이익


예를 들어 한 주당 가격이 1,000원 하는 회사가 1년 주당순이익이 1,000원 이라면 PER = 1,000/1,000 으로 1이 됩니다. 혹시 멀쩡한테 PER가 1인 회사가 있다면 엄청난 회사임이 틀림없습니다. 추가로 PER 10 미만의 회사들은 시간들여 눈여겨볼 필요가 충분합니다.


■ 주식 핵심용어 PBR

기업의 청산가치를 의미하는 PBR은 Price Book-value Ratio 의 줄임말로 현재 기준으로 기업을 처분 정산하였을 때 주주들이 회수할 수 있는 회수금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습니다.

PBR = 주가 / 주당 순자산

PBR 지표에 대한 대략적인 가이드는 아래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주식 종목 결정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PBR < 1 보다 작은 종목을 의주로 투자해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PBR > 1 : 주가가 주당 순자산과 비교하였을 때 높게 책정된 상태로 상대적인 고평가 상황이다.
PBR < 1 : 주가가 주당 순자산과 비교하였을 때 낮게 책정된 상태로 상대적인 저평가 상황이다.

오늘은 주식 핵심 용어 PER 그리고 PBR 의 계산법 그리고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고 개념정리 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았습니다. 주식투자 하실 때 객관적이고 수치적인 데이터를 통해 바르게 판단하고 의사결정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